Top
2025 02-19

회전근개건염, 회전근개파열, 어깨통증 – 365서울, 도침

안녕하세요.

365서울한의원 박윤식 원장입니다.

오늘은 우리 365서울에서 어깨통증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 수영을 매일하면서 어깨가 아프다는 환자분
  • 넘어질때 팔을 짚은뒤로 어깨가 많이 아프다는 분
  • 철봉에 많이 매달린뒤 어깨가 아프다는 분
  • 간병을 하면서 부축을 했더니 어깨가 아프다는 분 등

많은 분들이 어깨통증으로 내원하고 계십니다.

회전근개는 어깨관절을 감싸고 있는 근육은 크게 4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시계방향으로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4개의 근육이 있으며 이를 회전근개라고 부릅니다.

이중에 극상근이라는 근육에 가장 많이 병변이 발생하며,
나머지 세개의 근육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은
극상근의 병변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같이 병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깨 병변은 50%이상은 극상근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극상근의 병변은
충돌증후군, 회전근개건염, 회전근개파열 등으로나타날 수 있습니다.


  • 충돌증후군 – 팔을 올릴때 뚝뚝소리
  • 회전근개건염 – 어깨움직일때 통증. 심하면 밤에 아프다
  • 회전근개부분파열 – 회전근개건염과 비슷
  • 회전근개완전파열 – 3개월 통증 + 어깨 힘빠짐

충돌증후군은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병?증상?입니다.
통증은 없을수도 있으며 팔을 올리고 내릴때 뚝뚝 소리만 날 수도 있습니다.

아래그림과 같이 극상근(힘줄)이 팔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극상근 근육위에 있는 견봉뼈(어깨뼈)에 부딪히면서
뚝뚝 소리가 나게 됩니다.

단순하게 팔을 많이 써서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팔을 안쓰는데 소리가 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팔을 쓰지 않는데 소리가 난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대부분 본인이 팔을 쓰는 자세나 동작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경우에는 통증을 동반하며
회전근개 건염을 동반하는 경우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는 꼭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뚝뚝 소리가 난다는 것은
극상근이 두꺼워져 있거나
극상근위를 덮고있는 점액낭이라는 물주머니가 부어있기 때문인데요.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는 당연히 치료를 받으셔야 되며,
통증을 동반하지 않더라도
두꺼워진 힘줄이 퇴행되어
나중에 극상근 힘줄이 끊어지는 회전근개 파열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팔을 쓰지 않는경우 2~4주 약 10회정도,
팔을 많이 쓰는 경우 10~30회 정도 치료합니다.

도침치료가 기본입니다.

도침을 통해 염증이 있는 부분을 절개해 염증을 배출해주며,
두꺼워진 비정상 조직을 절개해 상처를 내어
몸에서 스스로 정상조직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봉약침이나 소염약침을 통해 염증을 줄여주어 통증또한 줄어들게 합니다.

추가로 어혈을 제거하는 한약을 병행하게 되면 치료가 수월해집니다.

충돌증후군에서 좀 더 진행된 경우로 보시면 됩니다.

팔을 많이 쓰는 경우 발생합니다.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극상근 근육(힘줄)에 염증이 있는 경우보다는
극상근 위를 덮고 있는 SASD bursa 라는 점액낭(물주머니)에
염증에 생기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초음파로 진단하기 어렵지 않으며,
육안으로 볼때나 손으로 촉진을 해봤을 때 부어있는 경우에
회전근개건염으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증상의 경중을 살펴보면

ㄱ. 매우 심한경우는
밤에 잘때 아파서 깨며,

ㄴ. 어느정도 심한경우
자다가 옆으로 누워서 자다보면 병변이 눌려서 아파서 깹니다.

ㄷ. 보통의 경우
팔을 들어올릴때 통증이 나타나며

ㄹ. 가벼운 경우는
오랫동안 팔을 움직이지 않다가 갑자기 움직일때
찌릿하는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ㄱ. -> ㄴ. -> ㄷ. -> ㄹ. -> 소리만 나는경우 또는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로 변하도록 치료합니다.


치료는 충돌증후군과 마찬가지로 치료하며
도침 + 봉약침(소염)이 기본치료가 됩니다.

통증이 심한경우나 빨리 치료되기를 원하는 경우
어혈한약을 병행합니다.

최소 10회 이상의 치료기간이 필요로합니다.

건증이라는
힘줄이 푸석푸석 두꺼워져버리는
퇴행성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는
통증을 가라앉힌 뒤에도
꾸준히 1~2주에 1회 내원하여 치료하시기를 권유합니다.

극상근 힘줄이 파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일부만 상처가 나는 부분파열
전체가 상처가나 끊어지는 완전파열로 나뉩니다.

부분파열의 증상은 회전근개 건염과 비슷하며,
조금 더 병변이 오래되고 진행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좀더 통증이 심한경우가 많습니다.

완전파열은
극상근 근육(힘줄)이 완전히 끊어진 경우로
초음파나 MRI상으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이학적 검사(empty can test)로도 어느정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저는 완전파열이 의심되면 꼭 이학적 검사를 해보며
이때 힘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치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완전파열된 힘줄은 수술로만 붙일 수 있으며
젊은 경우는 수술이 유리한 경우가 많으나
60대 이상 일상생활만 하는 경우는 수술의 이득이 크지 않으며
오히려 관절제한 등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수술보다는 통증을 잡는 침치료를 권유하게 됩니다.

치료는 회전근개 건염과 마찬가지로
도침과 봉약침이 기본이 되며
조금더 시간이 걸린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부분파열은 1개월 이상 10회이상
완전파열의 경우 2~3개월 정도 30~60회
치료기간이 필요합니다.

팔을 많이 쓰는 분들이나 완전파열의 경우
치료된 후에도 1~2주에 1회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우리 365서울은 도침을 기본으로 치료하는 한의원입니다.

어깨통증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은
우리 365서울에서 도침치료로 치료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365서울한의원은 구로 대림역 1번출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365서울한의원 원장

365서울한의원 대표한의사 박윤식입니다.
저희 한의원은 도침 치료와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치료, 초음파 진단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합니다. 환자분들의 통증 완화와 빠른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연관 포스트

인기 포스트